클래식 여행

오페라 <리골레토> 등장인물 리골레토, 길다, 만토바의 행동 및 심리분석

hanee67 2023. 5. 14. 19:47
반응형

오페라 <리골레토> 등장인물의 행동 및 심리분석

주세페 베르디의 오페라 <리골레토>에는 배신과 복수, 희생에 관한 다양한 이야기가 펼쳐지며 각 등장인물의 심리를 분석함으로써 그들이 복잡한 관계와 내면의 갈등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오페라의 등장인물 리골레토, 길다, 만토바 공작의 행동 및 성격, 심리적 특성을 분석해 보겠습니다.


리골레토(Rigolette)의 성격 및 심리분석

궁정 광대 리골레토는 양면성, 교활함, 깊은 감정적 갈등을 가진 인물입니다. 만토바 공작의 바람둥이 기질과 부도덕한 행동을 싫어하지만, 역설적으로 공작의 장난에 동참하고 피해자들을 비웃습니다. 리골레토의 행동은 자신의 신체적 기형에 대한 관심을 돌리고 타인의 조롱에 동참함으로써 자신의 고통을 완화하기 위한 방어기제로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마음 깊은 곳에서는 공작의 행동에 동참하는 자신의 역할에 대한 죄책감과 내적 갈등을 경험합니다. 이러한 내적 갈등은 레온 페스팅거의 심리학 이론인 인지 부조화 상태로 이어집니다. 인지 부조화는 개인이 상충하는 신념이나 태도를 가질 때 발생하며 심리적 긴장을 초래합니다. 리골레토의 경우 공작의 행동에 대한 불만과 공작의 만행에 동참하는 것에 충돌하여 감정적 혼란을 일으키게 됩니다.
리골레토는 헌신적인 아버지로서 딸 길다를 부패하고 위험한 세상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리골레토의 사랑과 보호의 감정은 부모와 자식 관계에서 형성되는 정서적 유대감에 관한 애착 이론과 일치합니다. 이러한 리골레토의 딸에 대한 강한 애착과 사랑은 그의 동기를 자극하여 길다를 유혹한 만토바 공작에 대해 분노와 배신감을 느끼고 복수를 결심하게 합니다. 리골레토의 복수에 대한 열망은 분노와 원한, 정의에 대한 갈망으로 더욱 강렬해집니다. 하지만 이러한 자신의 행동이 딸을 죽음에 이르게 하는 극단적인 비극을 맞이하게 됩니다. 


길다(Gilda)의 성격 및 심리분석

길다는 외부 세계에 대한 노출을 제한당하고 아버지 리골레토의 과도한 보호 아래 자랐습니다. 이러한 환경으로 인해 복잡한 인간관계를 헤쳐 나갈 세상 경험이 부족했으며, 제한된 지식과 순수함으로 타인, 특히 만토바 공작을 이상화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길다는 만토바 공작의 바람둥이 기질과 타인을 무시하고 학대하는 난폭한 성격은 무시한 채 그의 장점만 보았습니다. 이는 연애 관계에서 이상화라는 심리적 개념과 일치합니다. 경험이 부족한 개인은 파트너의 결점을 간과하고 긍정적인 속성을 확대하여 파트너에 대한 이상화된 이미지를 만들 수 있습니다.
또한 길다는 보호받으며 자랐기 때문에 조작과 속임수에 취약하며, 이는 경험 부족과 정서적 연결에 대한 갈망에서 비롯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취약성은 길다가 만토바 공작에게 속아 넘어가고 그의 매력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을 통해 알 수 있습니다. 길다의 행동은 안전한 정서적 유대감의 필요성과 연결과 사랑을 추구할 때 수반되는 취약성을 강조하는 애착 이론과 일치합니다.
만토바 공작과 사랑에 빠진 길다는 자신의 행복을 무시한 채 그에게 전적으로 헌신합니다. 그녀의 행동은 이타적인 헌신과 애정의 대상을 위해 기꺼이 희생하려는 의지를 반영합니다. 공작의 정체와 그가 자신의 아버지에게 준 고통을 알게 되지만, 자신을 희생하여 아버지를 보호하고 또한 공작의 행복을 우선시하려는 의지를 보여줍니다. 이러한 헌신은 대가를 기대하지 않고 다른 사람을 사랑하고 지원하는 무조건적인 사랑과 다른 사람을 위해 이타적으로 행동하는 이타주의의 심리적 개념을 반영합니다.


만토바 공작(Duke of Mantua)의 성격 및 심리분석

만토바 공작은 공감과 정서적 깊이가 부족하며 주로 자신의 욕망과 쾌락에 집중합니다. 자기 자신만을 중요시하며 주변으로부터 끊임없는 찬사를 받고자 하고, 자신을 매력적이고 거부할 수 없는 사회적 규범을 뛰어넘는 존재로 여깁니다. 이러한 자기애적 모습은 과대망상, 감탄에 대한 욕구, 타인에 대한 공감 부족의 특성을 보이는 나르시시즘적 인격 장애라고 볼 수 있습니다.
또한 자신의 행동이 다른 사람에게 미치는 정서적 영향을 고려하지 못하며, 진정한 유대감이나 깊은 감정보다는 정복의 흥분에 이끌립니다. 이러한 공감 능력 부족은 공감 능력의 감소, 타인의 감정을 냉정하게 무시하고 자기만족에 집중하는 특징을 가진 사이코패스의 개념과 일치합니다.
만토바 공작은 장기적인 결과보다 즉각적인 쾌락을 우선시하는 충동적인 성향이 강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의 행동은 충동적이고 즉각적인 만족을 추구하는 쾌락주의적이며, 다른 사람의 감정과 상황을 무시하고 자신의 욕망에 저항하지 못하는 자제력 부족의 모습에서 잘 드러납니다.


오페라 속 아리아에 나타난 만토바 공작의 심리

오페라 <리골레토>의 3막에 나오는 유명한 아리아 "La donna e mobile(여자의 마음)"에서도 만토바 공작의 심리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이 아리아에서 만토바 공작은 여자는 변덕스럽고 불성실하다고 표현하며 연애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보여줍니다. 그의 아리아는 그에게 내재된 나르시시즘과 여성에 대한 대상화를 반영합니다. 여성은 변덕스럽다고 선언함으로써 자신의 행동에 대한 책임을 면제하고 여성에게 책임을 전가하며, 이러한 관점은 그의 자기중심적 세계관과 책임감이 결여된 태도와 일치합니다. 또한 여성을 주체적인 생각과 감정을 가진 개인이 아닌 단순한 쾌락의 대상으로 보며 타인과 깊고 의미 있는 관계를 형성하지 못하는 미성숙한 인격 상태를 보여줍니다.
또한 매혹적인 선율의 아리아와 매력적인 연기를 통해 관객을 사로잡고 감정을 조종하며 오페라의 내러티브 안에 자신의 전술을 반영하는 모습을 통해 매력과 카리스마를 이용해 다른 사람을 조종하는 그의 조종적인 성향과 자기애적 모습을 뚜렷하게 보여주고 있습니다.


오페라 <리골레토>에서 리골레토, 길다, 만토바 공작의 심리적 특성과 관계는 다양한 심리학 이론을 통해 해석할 수 있습니다. 리골레토는 자신의 갈등과 죄책감을 인지 부조화 상태로 경험하며, 길다는 이상화된 이미지를 형성하고 애착 이론에 따라 보호와 사랑을 추구합니다. 만토바 공작은 나르시시즘적 특성과 사이코패스적 행동을 보이며, 그의 아리아는 그의 자기중심적 세계관과 여성에 대한 대상화를 나타냅니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오페라의 스토리 전개와 심리적 측면을 이해하고 등장인물의 행동과 갈등을 깊이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반응형